2025.10.29 (수)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HBM 독주' SK하이닉스, 분기 영업이익 '10조 클럽' 입성…60만 닉스 "정조준"

반도체 슈퍼사이클 본격 진입…SK하이닉스 3분기 영업이익 11.4조
'AI 큰손' 엔비디아 비롯한 주요 고객사에 HBM 공급 협의 모두 완료
SK하이닉스 장중 55만원 사상 최고가…증권가, 최대 70만원 전망

 

【 청년일보 】 SK하이닉스가 고대역폭메모리(HBM) 등 '반도체 슈퍼사이클(초호황기)' 등에 힘입어 올해 3분기 영업이익이 창사 이래 첫 10조원을 돌파하는 쾌거를 이뤘다.

 

특히 인공지능(AI) 시대 HBM 제품 수요가 폭증함에 따라 시장 안팎에선 당분간 실적 고공행진과 HBM 시장에서 독주 체제를 이어갈 것이란 기대감이 확산되고 있다.

 

SK하이닉스는 29일 연결 기준 올 3분기 영업이익이 11조3천834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61.9%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공시했다.

 

매출은 24조4천48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9.1% 증가했고, 순이익은 12조5천975억원(순이익률 52%)으로 119% 늘었다.

 

이같은 호실적 배경에는 D램과 낸드 가격 상승이 본격화하고 AI 서버용 고성능 제품 출하량 증가가 주효했으며, 기존 최고 기록이던 지난 2분기를 넘어서며 사상 최대 분기 실적을 달성했다.

 

SK하이닉스 관계자는 "고객들의 AI 인프라 투자 확대로 메모리 전반의 수요가 급증했다"면서 "HBM3E 12단과 서버향 DDR5 등 고부가가치 제품군 판매 확대로 지난 분기에 기록한 역대 최고 실적을 다시 한 번 넘어섰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특히 AI 서버향 수요가 늘며 128GB 이상 고용량 DDR5 출하량은 전 분기 대비 2배 이상으로 증가했고, 낸드에서도 가격 프리미엄이 있는 AI 서버향 기업용 SSD(eSSD) 비중이 확대됐다"고 덧붙였다.

 

3분기 사상 최대 실적을 경신한 SK하이닉스는 당분간 HBM을 중심으로 성장세가 두드러질 것이란 가능성을 시사했다. 

 

김우현 SK하이닉스 CFO(부사장)는 이날 공시 이후 3분기 실적발표 콘퍼런스콜에서 "HBM 제품의 수요 대비 공급이 2027년에도 타이트하게 유지될 전망"이라면서 "AI 시장은 향후 5년 동안 연평균 30% 성장률을 기록할 것"이라고 밝혔다.

 

HBM 수요가 AI 시장의 중장기적 성장세를 바탕으로 급격히 확대되고 있는 만큼 공급이 단시일 내에 수요를 따라잡기 힘들다는 분석이다.

 

또한 "HBM 제품은 2023년 이후 솔드아웃(완판) 상태가 이어지고 있다"면서 "(HBM) 가격 역시 현재 수익성을 유지할 수 있는 수준에서 형성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밖에 최근 'AI 큰손' 엔비디아를 비롯한 주요 고객사에 HBM 공급 협의를 모두 완료했다고 밝혔다. 이 중 지난달 개발을 완료하고 양산 체제를 구축한 HBM4(6세대 HBM)는 고객 요구 성능을 모두 충족하고 업계 최고 속도 지원이 가능하도록 준비했다.

 

김 CFO는 "HBM4는 HBM 양산성을 기반으로 올 4분기를 시작으로 내년에는 본격적인 판매 확대를 통해 HBM 시장의 리더십을 이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SK하이닉스는 HBM '업계 1위' 기술력을 통해 고객의 요구에 맞는 최상의 스펙을 충족하며 대응 중"이라면서 "업계에서 가장 빠르게 고객 요구에 맞춘 제품 샘플링을 제작했고 대량 공급을 위한 준비도 완료했다"고 강조했다.

 

이같은 호실적에 힘입어 SK하이닉스는 장중 55만원을 돌파하며 사상 최고가를 새로 쓴 가운데, 증권가 안팎에서도 SK하이닉스가 AI 메모리 반도체 시장 수요에 힘입어 일제히 목표주가 상향 조정에 나서고 있다.

 

박유악 키움증권 연구원은 "HBM 시장 점유율 확대와 범용 D램의 가격 상승 영향을 반영해, 내년도 영업이익 전망치를 65조원으로 상향한다"면서 목표주가를 기존 52만원에서 65만원으로 조정했다. 

 

IBK투자증권은 SK하이닉스의 목표주가를 기존 45만원에서 70만원으로 상향 조정했다.

 

김운호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메모리 시장 호황이 지속될 것"이라면서 "AI엔진 발전이 이뤄지면서 메모리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편,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SK하이닉스는 올 3분기 전세계 D램 시장 점유율 35%로 3개 분기 연속 1위 자리를 지켰다.

 

HBM이 전체 D램 매출의 40%를 차지하며 실적을 견인한 가운데, 삼성전자(34%)와의 격차는 1%p로 좁혀졌다.

 

카운터포인트리서치는 "SK하이닉스는 HBM 부문에서 58%의 시장 점유율로 독보적 1위를 달리고 있으며, AI 메모리 수요 급증에 따라 4분기에도 좋은 성적이 기대된다"고 밝혔다.

 


【 청년일보=이창현 기자 】

관련기사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