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9 (수)

  • 맑음동두천 -1.8℃
  • 맑음강릉 3.8℃
  • 맑음서울 0.0℃
  • 맑음대전 4.0℃
  • 맑음대구 4.2℃
  • 맑음울산 4.1℃
  • 흐림광주 5.2℃
  • 맑음부산 5.5℃
  • 흐림고창 4.1℃
  • 구름많음제주 10.1℃
  • 맑음강화 0.0℃
  • 맑음보은 0.8℃
  • 맑음금산 4.1℃
  • 구름많음강진군 6.0℃
  • 맑음경주시 3.9℃
  • 맑음거제 6.6℃
기상청 제공

"필수의료기기 공급 부족·중단 최소화"…식약처, 의료기기법 개정 추진

필수의료기기 지정, 제품 연구개발·생산·공급 全과정 지원 법적 근거 마련
신속 시장 진입 '행정적 지원'과 지속 생산·공급 유도 '재정적 지원' 동시 추진

 

【 청년일보 】 의료 현장에서 환자 치료에 꼭 필요한 '필수의료기기'를 국가가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제도가 도입된다.

 

19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수입 의존도가 높거나 공급 중단 시 국민 보건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는 의료기기의 안정적인 공급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의료기기법' 개정이 추진된다.

 

이는 국가가 필수적인 의료기기를 지정하고 해당 제품의 연구개발·생산·공급 전 과정을 체계적으로 지원하는 법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함이다.

 

법이 개정되면 식약처는 필수의료기기의 정의와 지정 대상 및 절차 등을 명확히 하고 관계 부처와 협의체를 운영하게 된다.

 

지정된 필수의료기기에는 신속한 시장 진입을 위한 '행정적 지원'과 지속적인 생산·공급을 유도하기 위한 '재정적 지원'이 동시에 이루어진지며, 행정적으로는 제품 개발 초기부터 사전상담을 제공하고, 허가·심사 기간을 단축하는 '신속심사(패스트트랙)'를 적용한다.

 

재정적으로는 제품 연구개발(R&D) 비용을 지원하고, 낮은 보험 수가로 인해 기업이 공급을 포기하는 일을 막기 위해 보건복지부·건강보험심사평가원 등과 보험 수가 조정(인상)을 적극 협의할 방침이다.

 

특히 수입 의존도가 높은 필수의료기기의 국산화가 정책의 최우선 과제 중 하나로 추진된다.

 

또한, 식약처는 관계부처와 협력해 '범부처 첨단 의료기기 연구개발 지원 2기 사업'(2026∼2032년)과 연계, 필수의료기기 국산화 제품 개발을 본격 지원할 계획이다. 임상부터 허가까지 제품화 전 과정에 걸쳐 업체 맞춤형 기술지원도 이뤄진다.

 

이와 함께 기존의 '희소·긴급도입 필요 의료기기' 공급 시스템도 효율화된다. 식약처는 최근 관련 절차를 간소화해 지정에 걸리는 기간을 기존 14주에서 9주로 대폭 단축했다.

 

나아가 특정 필수의료기기가 공급 중단될 예정이지만, 국내 대체품이 없는 경우 즉시 '희소·긴급도입 필요 의료기기'로 신속 지정하는 절차를 마련하기 위해 관련 고시 개정도 추진 중이다.

 


【 청년일보=김민준 기자 】

관련기사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