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현대건설이 현대위아와 손잡고 고질적인 도심 주차난 해소를 위한 '로봇 주차 솔루션' 개발에 나선다.
현대건설은 지난 7일 현대위아 의왕연구소에서 '로봇주차 솔루션 공동 개발 및 사업 확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도심 고밀화에 따른 주차 공간 부족과 지하 공간 활용의 비효율성 문제를 기술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추진됐다.
양사가 개발하는 솔루션은 운전자가 개입하지 않는 '완전 무인 발렛 시스템'이다.
이용자가 픽업존에 차량을 두면, 로봇이 차량 하부로 진입해 바퀴를 들어 올린 뒤 최적의 주차 공간으로 스스로 이동해 주차를 완료한다.
이 시스템은 앱을 통해 제어되며, 센서 기반 정밀 제어 기술로 좁은 공간에서도 효율적이고 안전한 주차가 가능하다.
특히 대규모 구조물 설치 없이 기존의 자주식 주차장에도 쉽게 적용할 수 있다는 점이 강점으로 현대건설은 이를 통해 기존 주차 효율을 약 30%까지 향상시켜 공간 활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번 협약은 최근 국토교통부가 '공동주택 오토발렛 주차장치' 설치를 허용한 개정안을 발표한 것과 맞물려 추진됐다.
현대건설은 내년부터 신규 재건축·재개발 사업지는 물론, 아파트 리뉴얼 신사업인 '더 뉴 하우스'에도 이 기술을 순차적으로 적용할 계획이다.
앞서 압구정2구역 재건축 사업에 업계 최초로 '로봇 친화형 단지' 조성을 제안한 바 있으며, 현대건설은 이를 통해 로봇 기반 스마트 주거 환경 조성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이는 단지 내에서 무인 셔틀, 배송, 소방, 전기차 충전 및 발렛주차 로봇 등이 자율적으로 움직이며 입주민을 돕는 형태다.
현대건설은 그룹사 역량을 결집해 이를 '로봇 기반 스마트시티 모델'로 발전시킨다는 구상이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로봇주차 기술은 심화되는 주차난의 새로운 해법이자 제도적 도입이 본격화되는 공간 솔루션"이라며 "변화를 선도해 고객 편의를 높이고 로봇 기반의 스마트 주거·빌딩 환경을 구현할 것"이라고 말했다.
【 청년일보=김재두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