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5 (금)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 맑음서울 32.7℃
  • 맑음대전 32.8℃
  • 맑음대구 31.6℃
  • 맑음울산 31.0℃
  • 맑음광주 32.3℃
  • 구름조금부산 31.5℃
  • 맑음고창 33.1℃
  • 구름조금제주 29.9℃
  • 맑음강화 30.8℃
  • 맑음보은 30.5℃
  • 맑음금산 30.8℃
  • 맑음강진군 33.3℃
  • 맑음경주시 31.9℃
  • 구름조금거제 29.1℃
기상청 제공

"기업가 정신은 잘 모르지만"...대표적인 기업인은 "故 정주영·故 이건희"

한경협, 2030 청년 교사들 상대로 '경제·기업가정신' 설문조사 실시
경제지식 수준 절반이 '보통' 인식...학교현장 경제교육 "필요하다" 답변
10명 중 6명 "기업가정신 몰라"...대표 기업인은 "故 정주영" 가장 많아

 

【 청년일보 】 2030세대 청년 교사 10명 중 8명(82.2%)은 본인의 경제 지식 수준이 '보통 이하'라고 평가하고 있으며, 기업가정신을 '잘 알고 있다'고 답한 교사는 10명 중 1명(9.9%)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제인협회 기업가정신발전소는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에 의뢰해 전국 2030 유·초·중·고 교원 54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30 청년 교사 경제·기업가정신 설문조사'를 통해 24일 이같이 밝혔다.

 

조사에 따르면 자신의 경제지식 수준을 '보통'으로 평가한 비중은 48.8%로 가장 많았고, '낮음' 25.5%, '매우 낮음' 7.9%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높음'(13.9%)과 '매우 높음'(3.9%)이라고 답한 비율은 전체의 17.8%에 불과해, 청년 교사들은 자신들의 경제 이해 수준이 전반적으로 낮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청년 교사들은 학교 내 경제교육의 필요성에는 강하게 공감하면서도, 실제 교육 수준은 부족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83.3%는 학교 내 경제교육이 '중요하다'(40.7%) 또는 '매우 중요하다'(42.6%)고 응답해, 대다수가 경제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하지만 경제교육이 실제로 학교 현장에서 '충분하다'고 답한 교사들은 10.4%에 불과했다. 

 

교사들은 학교 내 경제교육의 문제점으로 입시 위주의 교육 환경으로 인한 경제교육 소홀(29.4%) ▲이론 위주의 교육으로 인한 실용성 부족(23.7%) ▲경제교육 자료 부족(18.3%) 등을 꼽았다.

 

경제교육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교사를 위한 연수 프로그램 확대(30.4%) ▲경제 관련 교재 및 자료 개발(29.2%) ▲학생들의 현장 체험 학습 기회 확대(22.4%) 등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아울러 청년 교사들은 기업가정신에 대한 인식 수준도 전반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가정신을 잘 알고 있다'고 응답한 교사는 9.9%에 불과했으며, '어느 정도 알고 있다'는 응답도 30.1%에 그쳤다.

 

반면, '들어본 적은 있으나 잘 모른다'(43.3%)와 '전혀 모른다'(16.7%)는 응답이 전체의 60.0%를 차지해, 청년 교사 10명 중 6명은 기업가정신에 대해 제대로 알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30 교사들은 '기업가정신'을 대표하는 국내 기업인으로 故정주영 명예회장(23.3%), 모름·없음(13.6%), '故이건희 회장(12.7%) 순으로 답했다.

 

청년 교사들은 '기업가정신'의 필요성에 대해서도 높은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결과, 전체 응답자의 77.5%가 기업가정신이 '필요하다'(52.7%) 또는 '매우 필요하다'(24.8%)고 응답했다.

 

그러나 실제 학교 현장에서 기업가정신 교육이 충분히 이뤄지고 있다고 느끼는 교사는 10명 중 1명(9.8%)에 불과했다. '충분하지 않음'(37.6%)과 '전혀 충분하지 않음'(24.2%)을 합친 부정 응답은 61.8%에 달했다.

 

한경협은 "학교 교육이 혁신역량 강화와 도전정신을 함양에 핵심인 기업가정신 교육을 충분히 뒷받침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며, 교사 대상 콘텐츠 개발과 제도적 지원이 시급한 과제"라고 강조했다.

 

정철 기업가정신발전소장은 "기업가정신은 저성장 국면에 놓인 우리나라가 다시 도약할 수 있는 성장동력이 될 것"이라면서 "학교 현장의 젊은 교사들이 기업가정신에 대한 이해를 갖춰야 자라나는 세대 역시 이를 자연스럽게 배우고 국가의 경제성장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다"고 말했다.

 


【 청년일보=이창현 기자 】

관련기사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