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생명은 16일 1분기 주요실적 발표 기업설명회(IR)를 열고, 올 1분기 당기순이익이 6천35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1% 증가했다고 밝혔다. [사진=삼성생명]](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50520/art_17473840605261_35515e.jpg)
【 청년일보 】 삼성생명은 16일 1분기 주요실적 발표 기업설명회(IR)를 열고, 올 1분기 당기순이익이 6천35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1% 증가했다고 밝혔다.
매출은 6조3천27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1%, 영업이익은 7천539억원으로 1.0% 늘었다.
보험손익은 보험계약마진(CSM) 상각익 증가와 예실차(예상과 실제 차이) 개선에 힙입어 2천77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6% 늘어났다.
투자손익도 안정적 이자수익과 연결손익 증가의 영향으로 5천630억원을 기록, 1년새 0.4% 늘었다.
올 1분기 신계약 보험계약마진(CSM)은 6천578억원으로 23.3% 감소했다. 신계약 CSM 내 건강보험 비중은 74%까지 확대됐다.
삼성생명은 "다양한 건강상품과 담보 공급에 주력한 결과, 지난해 생보업계 최다 배타적 사용권을 획득하기도 했다"고 밝혔다.
지난 3월 말 CSM은 13조3천억원으로, 올 초 대비 3.1% 증가했다.
전속 설계사수는 3만9천350명이며, 전속채널의 건강상품 판매비중은 78%에 달한다.
삼성생명은 이날 컨퍼런스콜에서 지난 3월 말 지급여력비율(K-ICS)은 180% 전후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연말 지급여력비율 목표치도 180% 수준을 제시했다.
변인철 삼성생명 상무(계리팀장)는 컨퍼런스콜에서 "생명보험사는 사망을 담보하는 종신보험과 건강보험 비중이 매우 높아 손해보험보다 손해율 절대수준이 일정부분 낮다"며 "30년 뒤 장기손해율의 경우 회사의 상품포트폴리오나 보유계약의 구조에 따라 일부 그래프가 시장에서 보는 것과 다른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보험업계 새 회계기준인 IFRS17 도입 취지는 최선추정부채(BEL)의 예실차를 0에 가깝게 만드는 것이며, 예실차를 최소화하는게 IFRS17의 방향성에 부합한다"며 "당사의 예실차는 0.2% 수준으로 매우 낮고, 최선추정과 예실차 최소화에 집중하고 있다"고 말했다.
【 청년일보=신정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