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9 (금)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지방에 80%이상 몰려"...'악성 미분양' 다시 증가세

2만7천057가구 중 83.5%인 2만2천589가구, 지방에 몰려
주택 매매 거래량은 6만4천235건으로 전월 대비 13% 하락

 

【 청년일보 】 전국 주택 시장에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이 다시 늘어나면서, 주택 시장의 불안정한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

 

반면 일반 미분양은 꾸준히 감소세를 보이고 있어 시장의 복합적인 양상을 드러냈다.


국토교통부가 29일 발표한 7월 주택 통계에 따르면, 전국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2만7천57가구로 전월 대비 1.3% 증가했다.

 

2023년 8월부터 지난 5월까지 22개월 연속 증가했던 준공 후 미분양은 6월에 잠시 주춤했으나 한 달 만에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다.

 

특히 전체 준공 후 미분양의 83.5%에 해당하는 2만2천589가구가 지방에 집중되어 지방 부동산 시장의 어려움을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지역별로는 대구가 3천707가구로 가장 많았고, 이어 경남 3천468가구, 경북 3천235가구, 부산 2천567가구 순이었다.

 

 

주택 공급 지표는 지역과 지표에 따라 엇갈린 모습을 보였다.

 

주택 인허가는 전국적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26.1% 줄어든 1만6천115가구에 그쳤다. 수도권은 7.3% 늘었지만, 지방은 50.6%나 급감해 큰 격차를 보였다.

 

반면 착공과 분양은 모두 늘었다. 전국 착공 가구는 2만1천400가구로 전년 대비 33.5% 증가했으며, 수도권과 지방 모두 30% 이상 동반 상승했다.

 

공동주택 분양 역시 전국 2만2천752가구로 작년보다 75.3% 크게 늘었다. 그러나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북은 지난달 분양 실적이 전무한 것으로 나타났다.

 

준공 물량은 전국 2만5천561가구로 전년 대비 12% 줄었다. 수도권은 46.5% 늘었지만, 지방은 44.2% 감소해 지역별 편차가 심했다.

 

이러한 상반된 지표는 올 상반기까지의 부진한 흐름을 완전히 상쇄하기 어렵다는 분석을 낳고 있다. 따라서 내년부터 본격적인 주택 공급 부족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7월 전국 주택 매매 거래량은 6만4천235건으로 전월보다 13% 줄었다. 특히 수도권은 19.2% 감소해 지방(4.3% 감소)보다 감소 폭이 컸다.

 

서울은 1만3천46건으로 15.5% 줄었고, 그중 강북(20.6% 감소)이 강남(10.2% 감소)보다 감소율이 더 높았다. 이는 6·27 부동산 대책의 고강도 대출 규제 영향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전월세 거래는 전국적으로 24만3천983건으로 전월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하지만 전세 거래량은 0.9% 소폭 감소한 반면, 월세 거래량은 1.6% 증가하며 상승세를 보였다.

 

올해 1월부터 7월까지 누적 월세 거래 비중은 61.8%에 달해, 2021년 42.3%였던 것에 비해 크게 늘어 월세 선호 현상이 뚜렷해지고 있다.

 


【 청년일보=김재두 기자 】

관련기사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