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아파트 전세 가격이 비교적 안정세를 보이는 가운데 월세 가격이 2016년 통계 작성 이후 1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리얼하우스가 28일 KB국민은행 월간 시계열 자료를 집계한 결과, 2025년 9월 기준 수도권 아파트 월세 상승률은 6.27%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서울 7.25%, 경기 5.23%, 인천은 7.8%의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반면, 같은 기간 아파트 전세 가격은 서울 2.08%, 경기 0.99%, 인천 0.39% 상승에 그쳐 월세와의 격차가 확연했다.
연도별 수도권 월세 가격 추이를 보면, 2016년부터 2019년까지는 소폭 등락을 반복했지만 임대차 3법이 시행된 2020년 1% 상승에 이어 2021년 4.26% 올라 전세 가격과 같은 방향으로 움직였다.
하지만 2022년 이후부터는 전세 시장과 무관하게 강세를 이어가는 양상으로 2022년 5.54%, 2023년 5.25% 각각 상승했다.
같은 기간 아파트 전세 가격은 2022년 보합 수준인 +0.04%, 2023년에는 금리 상승 여파로 -6.66% 급락했다.
이후 월세 가격은 2024년 4.09%, 2025년 6.27%로 오름폭을 확대되고 있으며, 아파트 월세 가격 상승과 더불어 월세 거래 비중 또한 증가하는 추세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 1~8월 전국 주택 월세 비중은 62.2%로 처음으로 60%를 넘어섰다.
이는 2023년 연간 55.0%, 2024년 57.4% 대비 크게 높아진 수치로 전세금이 높은 서울의 경우 2025년 1~8월 누계 기준 전체 주택 월세 비중이 64.1%를 기록하며, 2023년 56.6%, 2024년 60.0%에서 꾸준한 상승세를 보였다.
월세 시장 확대를 예측한 건설사들의 움직임도 빨라지고 있다.
두산건설은 인천 '두산위브 더센트럴 도화'는 직주근접형이라 임대 수요가 많을것으로 예상돼 면적 구성을 모두 84㎡ 이하로 구성했다.
분양 관계자는 "인천은 비규제지역인데다 9월 기준 월세 전환율이 5.56%에 달해 임대 수익률 측면에서 경쟁력이 높다"고 설명했다.
현대건설은 서울 '힐스테이트 이수역센트럴'을 전용 44~84㎡ 중소형 위주로 구성해 도심 실수요층과 임대 수요를 동시에 겨냥했다.
또한 11월 선보일 '힐스테이트 광명11(가칭)'은 일반 공급 652세대(총 4,291세대) 중 628세대(약 96%)를 전용 59㎡ 이하 소형으로 구성할 예정이다.
대우건설은 고양 '식사 푸르지오 파크센트'(74·84㎡)와 김포 '풍무역 푸르지오 더 마크'(74·84㎡) 등 수도권 주요 지역에 중소형 위주 단지를 공급하며 임대 수요에 대응하고 있다.
일신건영의 '천안 휴먼빌 퍼스트시티'(84㎡) 역시 실속형 단일 면적으로 구성되어 지방에서도 소형 중심 설계 트렌드가 이어지고 있다.
리얼하우스 김선아 분양분석팀장은 "규제 때문에 전세금을 대출로 충당하기 어려워졌고, 의무 실거주 요건으로 인해 임대 매물은 더 줄어들 것이며, 어쩔 수 없이 월세를 선택하는 경우가 증가할 것"이라며 "정책에 따라 필연적으로 가장 큰 피해를 보는 주거 약자를 구제할 수 있는 정책이 보완되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 청년일보=김재두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