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5 (화)

  • 흐림동두천 6.0℃
  • 구름많음강릉 11.3℃
  • 박무서울 7.4℃
  • 대전 9.6℃
  • 구름많음대구 11.8℃
  • 구름많음울산 12.0℃
  • 광주 8.7℃
  • 맑음부산 13.6℃
  • 흐림고창 8.7℃
  • 흐림제주 12.3℃
  • 구름많음강화 5.9℃
  • 흐림보은 7.3℃
  • 구름많음금산 8.8℃
  • 구름많음강진군 10.8℃
  • 맑음경주시 12.4℃
  • 구름많음거제 12.5℃
기상청 제공

"구조적 공급 부족 지속"...건설정책연구원, 내년 수도권 집값 2~3% 상승 전망

지방은 1% 내외 하락·보합 예상... 시장 양극화 심화 우려
건설투자, 올해 9% 감소 후 내년 2% '제한적 반등' 그칠듯

 

【 청년일보 】 내년 수도권 주택 가격이 공급 부족 등의 영향으로 2~3% 상승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반면 지방은 인구 감소와 수요 기반 약화로 하락세가 이어지며 지역 간 양극화가 더욱 뚜렷해질 것으로 보인다.

 

대한건설정책연구원 고하희 부연구위원은 25일 서울 동작구 신대방동 전문건설회관에서 열린 '내년 건설·주택 경기 전망 세미나'에서 이같이 밝혔다.

 

고 부연구위원은 내년 수도권 시장 강세의 원인으로 공급 부족을 지목했다.

 

고 부연구위원은 "수도권은 착공 감소, 프로젝트파이낸싱(PF) 리스크, 3기 신도시 공사 지연 등 구조적 공급 부족이 이어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다만 지방 시장에 대해서는 인구·수요 기반 약화로 인해 1% 내외 하락하거나 보합 흐름이 나타날 가능성이 크다고 예상했다.

 

올해 주택 시장의 경우 전고점 회복 흐름 속에서 수도권과 지방 간 온도 차가 컸던 것으로 평가됐다.

 

고 부연구위원은 "수도권은 매수 심리·거래·가격이 모두 회복됐지만, 지방은 미분양 누적과 수요 약세로 하락·정체가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이날 세미나에서는 내년 건설 시장 여건에 대해 일부 긍정적 신호가 존재하나 부정적 요인이 더 크게 부각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왔다.

 

건설정책연구원 박선구 연구위원은 "금리 인하 기대감, PF 불확실성 감소, 공사비 안정, 이익 지표 개선 등 우호적 신호가 나타나고 있다"면서도 "착공 감소 등 누적된 선행 지표 부진과 지역 건설 경기 양극화, 안전 규제 부담이 여전히 회복을 제약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건설 투자 규모 역시 큰 폭의 반등을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는 전망도 나왔다.

 

박 연구위원은 "올해 건설 투자는 약 9.0% 감소한 264조원 수준에 머무를 것으로 예상된다"며 "내년에는 약 2% 증가한 269조원으로 제한적 반등에 그칠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전문 건설업 계약액도 올해 7% 감소 후 내년 4% 증가하는 수준에 그칠 것으로 전망됐다.

 

박 연구위원은 "공사 종류별 회복 속도 차이와 지방 전문업체의 경영 부담이 지속되는 영향"이라고 밝혔다.

 


【 청년일보=김재두 기자 】

관련기사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