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내년 수도권 주택 가격이 공급 부족 등의 영향으로 2~3% 상승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반면 지방은 인구 감소와 수요 기반 약화로 하락세가 이어지며 지역 간 양극화가 더욱 뚜렷해질 것으로 보인다.
대한건설정책연구원 고하희 부연구위원은 25일 서울 동작구 신대방동 전문건설회관에서 열린 '내년 건설·주택 경기 전망 세미나'에서 이같이 밝혔다.
고 부연구위원은 내년 수도권 시장 강세의 원인으로 공급 부족을 지목했다.
고 부연구위원은 "수도권은 착공 감소, 프로젝트파이낸싱(PF) 리스크, 3기 신도시 공사 지연 등 구조적 공급 부족이 이어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다만 지방 시장에 대해서는 인구·수요 기반 약화로 인해 1% 내외 하락하거나 보합 흐름이 나타날 가능성이 크다고 예상했다.
올해 주택 시장의 경우 전고점 회복 흐름 속에서 수도권과 지방 간 온도 차가 컸던 것으로 평가됐다.
고 부연구위원은 "수도권은 매수 심리·거래·가격이 모두 회복됐지만, 지방은 미분양 누적과 수요 약세로 하락·정체가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이날 세미나에서는 내년 건설 시장 여건에 대해 일부 긍정적 신호가 존재하나 부정적 요인이 더 크게 부각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왔다.
건설정책연구원 박선구 연구위원은 "금리 인하 기대감, PF 불확실성 감소, 공사비 안정, 이익 지표 개선 등 우호적 신호가 나타나고 있다"면서도 "착공 감소 등 누적된 선행 지표 부진과 지역 건설 경기 양극화, 안전 규제 부담이 여전히 회복을 제약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건설 투자 규모 역시 큰 폭의 반등을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는 전망도 나왔다.
박 연구위원은 "올해 건설 투자는 약 9.0% 감소한 264조원 수준에 머무를 것으로 예상된다"며 "내년에는 약 2% 증가한 269조원으로 제한적 반등에 그칠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전문 건설업 계약액도 올해 7% 감소 후 내년 4% 증가하는 수준에 그칠 것으로 전망됐다.
박 연구위원은 "공사 종류별 회복 속도 차이와 지방 전문업체의 경영 부담이 지속되는 영향"이라고 밝혔다.
【 청년일보=김재두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