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2.02 (토)

  • 흐림동두천 4.4℃
  • 구름조금강릉 6.7℃
  • 흐림서울 5.5℃
  • 대전 5.8℃
  • 맑음대구 5.7℃
  • 맑음울산 5.4℃
  • 구름조금광주 6.7℃
  • 구름조금부산 7.1℃
  • 구름많음고창 6.9℃
  • 흐림제주 10.4℃
  • 흐림강화 6.1℃
  • 흐림보은 5.2℃
  • 흐림금산 4.5℃
  • -강진군 5.9℃
  • 맑음경주시 2.3℃
  • 맑음거제 7.2℃
기상청 제공

[청년발언대] 어린이 없는 어린이집…'저출산' 해결 가능한가?

 

【 청년일보 】 최근 어린이집, 유치원, 초등학교 교사 등 어린아이들과 관련된 직종들이 사라지고 있다. 예전부터 지속되고 있는 저출산 문제에 대해 정부는 뚜렷한 해결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몇 년째 반복만 하는 도돌이표 같은 문제인 '저출산'은 해결이 불가능한가?


실제 아이 한 명을 양육하기 위해서 약 1억 2천만 원 남짓 든다. 아이를 키우면서 노후 자금, 내 집 마련 등을 실천하기엔 다소 어려움이 있다. 정부에서 여러 가지 정책을 내놓았지만 실제로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저출산 대책은 없어 보인다.


실제로 맞벌이 가구 수는 2015년 5천370천가구에서 2022년 5천846천가구로 늘어났다.


돈 문제뿐만이 아닌 사회적 인식 개선도 필요하다. '취업은 필수, 결혼은 선택' 등 결혼조차 고민하는 시대에 아이를 낳고 키운다는 것은 힘든 일이 아닐 수 없다.


국민들이 실제 체감할 수 있는 저출산 정책이 시행될 수 있도록 정부도 노력하고 있다. 다자녀 3인 정책만이 아니라 한 명만 낳아도 세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등 여러 가지 방안을 제시하고 있는 현재 상황이다.
 


【 청년서포터즈 6기 김유진 】

관련기사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