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9.15 (일)

  • 구름조금동두천 24.7℃
  • 흐림강릉 22.1℃
  • 구름조금서울 26.9℃
  • 구름조금대전 26.9℃
  • 맑음대구 25.4℃
  • 맑음울산 24.9℃
  • 맑음광주 27.3℃
  • 맑음부산 28.0℃
  • 맑음고창 25.3℃
  • 맑음제주 28.7℃
  • 구름많음강화 24.1℃
  • 구름많음보은 25.6℃
  • 구름조금금산 25.8℃
  • 맑음강진군 26.4℃
  • 맑음경주시 24.3℃
  • 맑음거제 27.9℃
기상청 제공

[청년발언대] 수도권 쏠림에 지역 청년 감소…"폭넓은 시각서 문제 해결 필요해"

 

【 청년일보 】 최근 부산 지역을 포함한 지방 대도시들의 인구가 감소하며 많은 지역이 쇠락의 길을 걷고 있다. 대한민국 제2의 도시인 부산조차도 상황은 심각하다. 2021년 11월 기준 만 18살에서 34살까지 부산시 청년 인구는 68만 9천여 명으로, 전체 인구의 20.7%를 차지했다. 이는 전년도에 비해 2.1% 감소한 수치로, 2015년 이후 청년 인구 감소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 지방 대도시들은 일자리가 많이 줄고 청년들의 여건이 나빠지면서 청년들이 많이 빠져나가는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 이와 반대로 수도권은 청년들의 유입이 끊이지 않으면서 인구 집중 현상이 심해지는 중이다. 


우리 사회에서는 수도권 집중화의 원인을 단순한 인구의 저출산 및 고령화로 여겨 왔으며, 지역의 인구 변동은 인구 문제가 아닌 지역의 발전 문제로만 생각했다. 그러나 최근 수도권 인구 집중은 수도권의 인구 증가와 지방의 인구 감소가 동시에 일어나면서 가속화되고 있는데, 인구 이동에서 수도권 순유입으로의 반전은 인구 불균형을 더욱 심화시키고 있다. 수도권 인구 순 이동 규모를 연령별로 구분해 보면 청년 인구 (19~34세)에서 가장 크게 나타나며, 이는 청년 인구의 순 이동이 지방 각 지역 인구 증감을 결정하는 핵심요소라 볼 수 있는 지표이다. 


청년들이 지방에서 수도권으로 몰리는 이유는 연령별로 다르게 분포한다. 청년기 초기에는 진학으로 인한 ‘교육’ 사유가 제일 높지만, 대학 졸업 연령을 지나면서 일자리의 문제로 인해 수도권으로 몰리고 있다. 부산시가 지난해 청년 3천 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 결과, 부산을 떠날 의사가 있는 청년은 전체의 29%를 차지했다. 이 가운데 75%가 일자리 때문이라고 대답할 정도로 부산에서도 청년들이 원하는 일자리는 한없이 부족하다. 지방에서는 일거리를 찾기 쉽지가 않으며, 겨우 일자리를 찾아도 조건이 좋지 않은 곳이 허다하다. 또한, 청년들이 희망하는 대부분의 기업은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다. 전국 각 상공회의소에 따르면 2020년 매출액 기준 전국 100대 기업 중 지방에 본사를 둔 기업은 경상권 6개, 충청권 3개 등 9개에 불과하지만 서울, 인천, 경기 등 수도권에는 91개나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수도권의 뛰어난 인프라도 청년들의 수도권 순유입을 증가시키는 요인이다, 그러나 대한상공회의소가 지난 30일 ‘내가 살고 싶은 도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청년 세대가 자신이 추구하는 삶의 방식을 충족할 수 있다면 수도권과 비수도권을 굳이 구분하지 않을 수 있음을 보여줬다. 내가 살고 싶은 지역 도시가 갖춰야 할 교통 환경에 대해서 ‘편의시설 등 주요 인프라가 집중된 도심과의 연결성 향상’(35.8%)이‘수도권과의 접근성 향상’(29.7%)보다 높게 나타나 수도권과의 접근성보다 내가 살고 있는 도시 내에서의 교통 편리성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그뿐만 아니라, 수도권에 거주하는 2030을 대상으로 비수도권 이주 의향을 물어봤더니 ‘의향이 있다’(31.7%), ‘의향이 없다’(45.7%), ‘잘 모르겠다’(22.6%)로 나타나 3명 중 1명이 비수도권으로 이주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수도권 집중 현상이 비수도권 지역의 약화, 소멸로 이어지는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으며, 이를 위해선 지방에서의 일자리 유치가 절실해 보인다. 일할 사람과 소비자가 있다면 기업의 투자도 자연스럽게 늘어날 수 있는 만큼 지역에 미래 세대가 살고 싶어 하는 정주 환경을 만드는 것에 집중해야 한다. 우리나라 지역 산업은 연구소나 본사는 수도권에 두고, 지방에는 공장만 두는 경우가 많다. 지방이 제조업 중심 일자리밖에 없는 만큼 관련 연구개발이나 서비스 등의 분야도 해당 제조업을 갖춘 분야에서 일어날 수 있도록 국가 차원의 많은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 청년서포터즈 7기 박준서 】

관련기사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