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8 (목)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청년발언대] 틀린 정보의 전염, 인포데믹

 

【 청년일보 】 2019년 말, 전세계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이하 코로나19)라는 세기의 위협을 맞닥트렸다. 2021년 5월 12일 기준으로 전 세계적으로 330만 명의 목숨을 앗아간 이 질병은 판데믹(pandemic)이다.

 

코로나19가 시작된 이래, 또 다른 전염병이 전세계를 뒤덮었다.

 

이는 코로나19보다 전파력이 강하고, 이에 대한 방역 체계가 제대로 구축되어 있지 않다. 아마 오늘도 여러분은 이 병의 매체를 접촉했을 것이다. 그것은 바로 바이러스가 아닌, ‘틀린 정보’이다.

 

인포데믹은 정보(information)과 전염병(epidemic)를 합성한 신조어로, 틀린 정보의 걷잡을 수 없는 확산을 하나의 질병에 비유한 단어이다. 물론, 틀린 정보가 퍼지는 것은 새로운 현상이 아니다.

 

특히, 지금과 같은 판데믹 상황이었던 1918년 인플루엔자나 80년대 HIV/AIDS 범유행 당시에도 수많은 틀린 정보가 쏟아져 나왔다. 하지만 오늘날의 인포데믹은, 양적으로도 질적으로도 예전보다 비교가 안 될 정도이다.

 

틀린 정보는 팩트 체크의 수요 증가로 증면된다. 팩트 체크란, 대중에게 영향을 끼칠 정도로 유의미한 오보나 허위정보를 분석해 진위를 밝히는 것을 말한다. 작년 1월과 3월 사이, 팩트 체크가 900% 이상 늘어났다.

 

유명 팩트 체크 사이트 Snopes나 우리나라의 서울대 팩트체크센터도 비슷한 상황에 처해 있다.

 

틀린 정보는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는 실수로 혹은 무의식적으로 틀린 정보를 퍼트리는 오보(misinformation)이고, 둘째는 의도적으로 조작된 정보를 유포하는 허위정보(disinformation)이다. 현재의 인포데믹은 이 두 가지 현상이 모두 관찰된다.

 

예를 들어, 아스트라제네카 특정 생산분을 리콜한 것을 전면 리콜로 해석한 것은 오보라고 볼 수 있다. 한편, 4월 9일 남양유업이 “불가리스가 코로나19 억제 효과가 있다”고 한 것은 금전적 이득을 목표로 한 허위정보이다.

 

이는 비단 우리나라에서만 보이는 현상은 아니다. 미국에서는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부터 마스크의 효과성을 부정했다.

 

중국에서는 바이러스의 기원이 미군 기지라는 허위정보가 인민일보와 신화통신을 통해 퍼졌으며, 인도에서는 채식주의가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을 부여한다는 헛소문이 유행했었다.

 

이스라엘의 극우 전통주의자들은 성경이 바이러스로부터 보호해준다고 주장했으며, 중동 국가에서는 유대인을 코로나19의 배후로 지목했다.

 

심지어, 높은 학술지들도 인포데믹의 영향을 피하지 못 했다. 작년 6월,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의학 학술지인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과 ‘The Lancet’에서 조작된 수치 해석을 기반으로 한 코로나19 치료제 관련 논문을 싣기도 하였다.
 
그러나, 공식 기관들만 탓할 수는 없다. 이번 인포데믹이 2009년 신종 인플루엔자, 2003년 SARS 때와 다른 결정적인 이유는 바로 소셜 미디어를 통한 확산이기 때문이다.

 

2010년대부터 선진국들의 모든 연령층에게 스마트폰이 보급되면서 인터넷 접근성이 늘어났다. 이와 함께 유튜브, 왓츠앱, 틱톡 등의 소셜 미디어가 설립되면서 또 하나의 정보망이 구축되었다.

 

이를 통해 누구나 작은 영향권을 지니게 되었으며, 뉴스 기사나 논문과 달리 접근성이 높고, 짧고, 재미있고, 일반인으로서 공감 가능한 유튜브 동영상이나 밈(meme)이 널리 퍼지게 되었다.

 

이 중 몇몇에 함유되어 있는 허위정보가 거듭된 공유를 통해 대중과 언론에게 알려지게 되면, 음모론으로 발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5G 전파가 코로나바이러스를 생성한다는 음모론은 유튜브와 페이스북의 동영상들이 그 근원지이다.

 

그렇다면 인포데믹은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 현재 사용되고 있는 방법으로는 팩트 체크와 언론사 및 소셜 미디어 회사의 적극적인 컨텐츠 관리이다.

 

이미 유튜브, 페이스북, 트위터 등은 가짜 뉴스를 퍼트리는 인플루언서들이 수입을 얻는 것을 억제하고 있으며, 유저 차단을 통해 일반인들이 근거 없는 음모론을 공유하는 것을 막고 있다.

 

그러나, 이 두 방법에는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팩트 체크는 의사, 경제학자, 기자 등 많은 고급 인력이 요구되며, 소셜 미디어 회사들이 자신들의 주 수입원인 크리에이터을 관리하길 바라는 것에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인포데믹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혁신적인 해결법이 필요하다.

 

첫째, 인간 팩트 체커들을 보조하기 위해 인공지능을 도입해야 한다. 워털루 대학에서는 딥 러닝을 사용해 가짜 뉴스를 판별할 수 있는 인공지능을 개발했다.

 

마찬가지로, 영국의 스타트업 Logically는 인공지능을 사용해 기사의 내용이 허위정보인지 아닌지를 구별할 수 있는 무료 앱과 구글 크롬 플러그인을 개발했다. 인공지능은 절대 완벽하지 못하지만, 도입으로 인해 과부하된 팩트 체커들의 짐을 조금이나마 덜어줄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사용자들이 정보를 공유할 때 조심할 수 있도록 이끌어야 한다.  Pennycook et al, 2020에 따르면, 조금이라도 기사의 정확도를 가늠해보라고 유도했을 때, 그렇지 않았을 때보다 참가자들은 가짜 뉴스 공유에 더욱 회의적이었다.

 

즉, 가짜 뉴스의 공유는 대부분 집중력이 덜할 때 일어난다. ‘좋아요’와 ‘공유’ 회수를 바로 보여주는 소셜 미디어의 즉각적인 만족감은 집중력을 저하시키며, 가짜 뉴스의 공유를 부추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공유를 다시 한번 생각해 볼 기회를 주는 공지나 확인 버튼이 필요하고, ‘좋아요’나 ‘공유’ 회수를 덜 강조해야 한다.

 

인포데믹은 일개 개인의 문제가 아닌 사회 전체의 문제이다. 급진적인 변화에 적응하기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와 공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지 않았다.

 

그로 인해 기술의 발전에 비해 사회의 지적 능력과 윤리성은 현저히 떨어지는 문화지체 현상이 일어났다.

 

이전부터 항상 존재해왔던 문제지만, 지금 이 시대에 유난히 부각되는 이유는 그 어느 때보다 더 진실이 필요한 시대이기 때문이다.

 

팬데믹(pandemic, 범유행)은 그리스어 pan(모든)과 demos(사람)의 합성어이다. 즉, 범유행은 모든 사람에게 영향을 끼친다.

 

인포데믹 또한 사회의 모든 사람이 그 대상이며, 마찬가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모든 사람의 협력이 필요하다.

 

특히나, 코로나 방역 단계에서 백신 보급 단계로 넘어가려 하는 현재의 과도기에서는, 대중의 신뢰와 정보 윤리성이 너무나 중요하다. 따라서 오보와 허위정보를 타파하기 위해서는 정부, 언론, 기업, 그리고 시민들의 적극적인 협조가 필요할 것이다.

 

 

【 청년서포터즈 4기 신유찬 】

관련기사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