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대학 졸업을 앞두었거나 이미 졸업한 청년층 10명 가운데 7명이 사실상 구직활동을 접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취업문이 '바늘구멍'이 되면서 사회 진출을 앞둔 청년층의 불안감, 우울함 등 심리적 위축은 갈수록 커질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이 지난 8월 12일부터 9월 6일까지 대학생 2713명을 대상으로 실시해 12일 발표한 '2021년 대학생 취업 인식도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65.3%가 구직 단념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제연구원의 대학생 취업 인식도 조사는 지난 2016년부터 대학교육협의회와 공동으로 매년 실시되고 있으며, 구직 단념 관련 항목은 올해 조사에서 새로 추가됐다. 이 조사에서 졸업생은 각 대학교 취업정보센터에 등록된 이들을 말한다.
구직 단념 상태는 구직활동 실태 응답 중 '거의 안함'(33.7%), '의례적으로 하고 있음'(23.2%), '쉬고 있음'(8.4%)을 합한 것이다. '적극적으로 구직활동을 하고 있다'는 응답은 10명 가운데 1명 꼴인 9.6%에 불과했다.
적극적으로 구직활동을 하지 않는 이유로는 '자신의 역량, 기술, 지식 등이 부족해 더 준비하기 위해서'가 64.9%로 가장 많았다. 이어 '전공 또는 관심 분야의 일자리가 부족해서'가 10.7%, '구직활동을 해도 일자리를 구하지 못할 것 같아서'가 7.6%, '적합한 임금 수준이나 근로조건을 갖춘 일자리가 부족해서'가 4.8% 등의 순이었다.
또 응답자의 58.6%는 올해 대졸 신규채용 환경이 지난해보다 어렵다고 답했다. 42.7%는 올해 하반기 취업 환경이 상반기보다 더욱 악화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청년층의 노동시장 진입을 늦추고, 미래의 성장동력 저하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 19) 사태의 장기화로 인한 취업준비 과정의 어려움에 대해서는 '채용 기회 감소로 인한 입사 경쟁 심화'(29.3%), '체험형 인턴 등 실무경험 기회 확보 어려움'(23.9%), '불안감, 우울함 등 심리적 위축 가중'(18.2%) 등을 꼽았다.
올해 적극적으로 구직활동을 하는 대학생들은 평균 6.2회 입사 지원을 한 것으로 조사됐다. 서류전형 합격 횟수는 평균 1.6회로 서류전형 합격률은 평균 25.8%였다. 올해 입사 지원 횟수를 보면 1~5회가 60.2%로 가장 많았다. 그 뒤로 6~10회 14.2%, 11~15회 6.1%, 16~20회 5.4%, 21~25회 3.4%가 잇고 있다.
취업을 희망하는 기업으로는 공기업, 취업이 예상되는 기업으로는 중소기업이 가장 많았다. 이를 구체적으로 보면 희망기업 순위는 공기업(18.3%), 대기업(17.9%), 공무원(17.3%), 중견기업(17.1%), 중소기업(11.9%), 외국계 기업(8.6%), 금융기관(3.4%) 순이었다.
반면 실제 취업할 것으로 예상되는 기업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30.1%가 중소기업이라고 답했다. 이어 중견기업 20.9%, 공무원 15.2%, 공기업 10.7%, 대기업 7.2%, 외국계 기업 4.4% 순으로 나타났다. 지난해와 비교하면 중소기업 취업 예상 비중이 5.1%포인트(p) 늘었고, 공기업 비중은 5.3%p 줄었다.
추광호 한국경제연구원 경제정책실장은 "좁아지는 취업문 속에서 대다수 청년이 자신감을 잃거나 원하는 일자리를 찾지 못하고 있다"며 "기업규제 완화, 노동 유연성 제고 등으로 기업의 고용 여력을 확충하는 것이 근본적이고 유일한 해결책"이라고 말했다.
【 청년일보=정구영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