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1 (화)

  • 맑음동두천 8.6℃
  • 구름많음강릉 9.8℃
  • 맑음서울 10.0℃
  • 맑음대전 11.0℃
  • 맑음대구 10.8℃
  • 맑음울산 7.9℃
  • 맑음광주 10.1℃
  • 맑음부산 8.9℃
  • 맑음고창 5.5℃
  • 맑음제주 10.4℃
  • 맑음강화 3.0℃
  • 맑음보은 7.2℃
  • 맑음금산 8.7℃
  • 맑음강진군 7.4℃
  • 맑음경주시 5.9℃
  • 맑음거제 9.6℃
기상청 제공

[장석영의 '실버 산업' 현황과 전망] <98> 시니어 커리어 리부트…맞춤형 커리어 로드맵

 

【 청년일보 】 "100세 시대, 일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다"

 

평균 수명이 길어지면서 '100세 시대'가 현실이 되었다. 하지만 은퇴 후 30~40년을 단순한 여가 생활로 보내기에는 경제적 부담이 크고, 사회적 역할에서도 멀어지게 된다. 이제 '일하는 시니어'는 선택이 아니라 필수가 되어가고 있다. 경험과 노하우를 자산으로 삼아 새로운 커리어를 구축하는 것이야말로 지속 가능하고 활기찬 인생 후반전을 만드는 핵심 전략이다.

 

최근 시니어들의 경제 활동이 다변화되고 있다. 한 가지 직업에 얽매이지 않고, 다양한 방식으로 소득을 창출하는 'N잡러' 시니어들이 증가하는 추세다. 은퇴 후 강사, 컨설턴트, 크리에이터, 1인 사업가, 프리랜서 등으로 활동하며 제2, 제3의 직업을 만들어가는 이들은 자신만의 전문성과 경험을 살려 새로운 기회를 창출하고 있다.

 

오랜 경험과 노하우를 수익으로 연결하는 것은 시니어들에게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는 중요한 전략이다. 이를 위해서는 자신의 강점과 전문성을 명확히 파악하는 것이 첫걸음이다. 직장 생활을 통해 쌓은 스킬, 리더십, 인맥 등을 정리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분야를 탐색하는 것이 중요하다. 자신이 가장 자신 있는 분야를 객관적으로 분석하면 새로운 기회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

 

또한, 끊임없는 배움을 통해 변화하는 시대에 적응하는 것이 필요하다. 온라인 강의, 자격증 과정, 세미나 등을 활용하여 최신 트렌드를 익히고, 디지털 기술이나 창업 관련 지식을 습득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하는 능력은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 잡고 있어 이를 적극적으로 익혀야 한다.

 

네트워크의 활용 역시 성공적인 시니어 커리어 구축을 위한 핵심 요소다. 기존의 인맥을 활용하는 것은 물론이고, 새로운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도 중요하다. 오프라인 모임, 업계 행사, 온라인 커뮤니티 등을 통해 다양한 사람들과 교류하며 새로운 기회를 모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자신에게 맞는 협업 기회나 사업 아이디어를 발견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개인 브랜드 구축은 시니어 커리어 구축에서 빼놓을 수 없는 요소다. 블로그, 유튜브, SNS 등을 활용하여 자신의 경험과 전문성을 알리고 신뢰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콘텐츠를 통해 자신의 가치를 증명하고, 이를 통해 새로운 고객과 협력 기회를 창출할 수 있다. 꾸준한 콘텐츠 생산과 진정성 있는 소통은 개인 브랜드를 더욱 견고하게 만들고, 다양한 기회의 문을 여는 중요한 열쇠가 된다.

 

시니어들이 자신의 경험을 수익으로 연결하는 것은 단순한 일이 아니다. 하지만 강점 파악, 지속적인 학습, 네트워크 활용, 창업 및 프리랜서 시장 탐색, 개인 브랜드 구축이라는 전략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면 보다 성공적인 커리어를 이어갈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단순히 경제적 이익을 넘어 삶의 의미를 찾고, 사회와 지속적으로 연결되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고령화 시대에 '시니어 경제'는 단순한 트렌드가 아닌 필연적인 흐름이다. 과거와 달리, 이제는 연령이 많아질수록 더 많은 기회가 열리는 시대다. 경험을 바탕으로 새로운 커리어를 설계하는 시니어들은 더 이상 사회에서 소외된 존재가 아니라, 중요한 경제 주체로 자리 잡고 있다.

 

'나이는 숫자에 불과하다'는 말이 더 이상 허울뿐인 격언이 아니다. 시니어들도 새로운 도전을 통해 가치를 창출하고, 활기찬 인생 후반전을 만들어갈 수 있다. 지금이야말로 경험을 수익으로 전환하는 멋진 도전에 나설 최고의 기회다!

 


글 / 장석영 (주)효벤트 대표

 

동탄 재활요양원 대표
효벤트 (창업 요양원/창업 주간보호센터) 대표
효벤트 웰스 대표
김포대학교 사회복지전공 외래교수
숭실사이버대학교 요양복지학과 외래교수
한국보건복지인재원 치매케어 강사
사회복지연구소 인권 강사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노년학 박사과정
경기도 촉탁의사협의체 위원
치매케어학회 이사
대한치매협회 화성지부장

관련기사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