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전세자금 대출 10건 중 9건이 변동금리형으로 이뤄져 금리상승에 따른 위험이 크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특히 전세대출 비중이 큰 20∼30대의 상환 부담이 늘어날 전망으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1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진선미 의원이 금융감독원에서 제출받은 전세자금 대출 현황에 따르면 은행권 변동금리형 전세자금 대출 잔액은 작년 말 기준 151조5천억원으로, 전체 162조원의 93.5%를 차지했다.
변동금리형 대출 비중은 2019년 말 83.2%에서 2020년 말 86.7%로 최근 3년간 상승추세를 보이고 있다.
고정금리형 대출이 서민금융지원을 위한 일부 정책금융상품에서 제한적으로 공급된 가운데 최근 몇 년 새 일반 전세대출 잔액이 급증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전세대출을 연령별 별로 살펴보면 절반 이상의 전세대출이 20∼30대 청년층을 중심으로 이뤄졌다.
6월 말 현재 20대 차주 수는 30만6천13명(22.2%), 30대 차주 수는 54만2천14명(39.4%)으로, 20∼30대 차주가 전체의 61.6%를 차지했다.
대출 금액 기준으로도 20대 차주 23조8천633억원(14.1%), 30대 차주 70조1천325억원(41.5%)으로 20∼30대 전세대출 잔액(93조9천958억원·55.6%)이 100조원에 육박했다.
진 의원은 "전세자금 대출은 주거를 위한 생계용"이라며 "금리의 가파른 인상으로 청년층이 과도한 빚 부담을 떠안아 부실화하지 않도록 전세자금 대출 대환 등 다양한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 청년일보=이나라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