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6 (수)

  • 맑음동두천 30.0℃
  • 맑음강릉 28.9℃
  • 구름조금서울 30.8℃
  • 맑음대전 29.7℃
  • 구름많음대구 29.4℃
  • 구름많음울산 27.0℃
  • 구름조금광주 29.1℃
  • 구름많음부산 26.6℃
  • 맑음고창 29.5℃
  • 구름많음제주 26.1℃
  • 맑음강화 27.2℃
  • 맑음보은 27.6℃
  • 맑음금산 29.0℃
  • 구름많음강진군 28.9℃
  • 구름많음경주시 28.6℃
  • 구름많음거제 26.7℃
기상청 제공

[기자수첩] 의대 증원에 '촛불집회'(?)...의협 행보, 과연 합당한가?

 

【 청년일보 】 의학대학 정원이 27년 만에 확대되면서 이에 반발하는 대한의사협회(이하 의협)가 전국 6개 권역에서 촛불집회를 열었다.


올해 치러질 2025학년도 의대(의전원 포함) 모집인원은 전년(3천58명) 대비 1천509명 증가한 40개 대학 4천567명으로 확정됐다.


이에 의협은 지난달 30일 서울을 비롯한 전국 6개 지역에서 촛불집회를 열고 정부의 의대 증원 강행을 비판했다.


서울 집회에는 2천명이 참석했으며, 전날 춘천에서 열린 집회를 포함해 7곳 집회의 참석자가 모두 1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임현택 의협 회장은 이날 "이 사태의 본질은 정부가 일으킨 의료농단, 돌팔이를 만들겠다는 교육농단, 암 환자 고려장, 어르신들이 돈 많이 드는 진료는 못 받게 해 일찍 죽게 하겠다는 의료 고려장"이라며 정부를 강하게 비판했다.


이어 "향후 투쟁과 관련해 6월부터 본격적으로 의료 농단에 대한 큰 싸움을 시작할 것이라며 이제는 개원의, 봉직의도 본격적으로 이 큰 싸움에 나와줘야 한다"고 언급했다.


한편 정부는 복귀한 전공의에 대해서는 불이익을 최소화할 방침이라며, 전공의들의 조속한 복귀를 재차 촉구했다.


정부는 전공의들의 복귀 의사를 파악하고자 각 수련병원에 요청한 개별상담 결과 제출 기한을 종전 지난달 29일에서 31일까지로 연장하면서 "하루라도 더 빨리 복귀하면 더 빨리 수련과정을 마치고 전문의가 돼 원하던 길로 가실 수 있을 것"이라고 독려했다.


전공의들이 의료현장을 떠난 지도 어느덧 3개월이라는 시간이 지났다. 장기화되고 있는 의료 공백으로 인해 많은 환자들이 의료서비스에 대한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특히 지난 3월 26일 부산에서는 급성 심장질환을 앓던 50대 환자가 의료 공백으로 인해 여러 응급실을 전전하다가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당시 환자는 집에서 5분 거리에 있는 종합병원 등 시내 15개 병원을 찾아갔으나 모두 거부당했으며, 증상이 나타난 지 5시간이 지난 뒤에야 울산시로 이송돼 응급수술을 받았지만 끝내 숨졌다.


환자단체와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은 전공의들의 조속한 복귀를 강력히 호소하고 있다.


지난달 29일 안기종 환자단체연합 대표는 "환자들은 100일 동안 버텼다. 의료계가 늦기 전에 필수·중증의료를 담당하는 전공의들이 의료현장으로 돌아와 진정성을 보여줬으면 좋겠다"고 강조했다.


하루 전인 지난달 28일 송기민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 보건의료위원장은 "여전히 복귀하지 않고 있는 의료계가 잘못하고 있다는 건 명백한 사실"이라면서도 "전체 의료계로 보기보다는 눈치를 보고 있는 전공의들이 일부 있을 것으로 생각되는데 복귀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줘야 한다"고 말했다.


이 외에도 선천성심장병환우회도 전공의들의 빠른 복귀를 촉구했다.


이렇듯 의협은 단순히 의사들의 권익보호에만 집중할 것이 아니라, 환자들의 복지와 건강을 최우선으로 생각해야 한다. 전공의의 집단 이탈과 미복귀 사태는 장기적으로 더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을 수 있다.

 

이에 하루라도 빠른 양보와 타협이 필요하다.


의과대학 정원 확대 문제는 의료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긍정적인 시도지만, 정부와 의료계 간의 심도 있는 대화와 협상을 통해 균형 잡힌 해결책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더불어, 양측이 진심으로 국민을 걱정한다면 더 이상 환자에게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최선의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 청년일보=권하영 기자 】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