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가장 많은 주목을 받은 분야는 메타버스와 대체불가토큰(NFT)이다. 메타버스가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한 사람 간 대화·업무 단절 및 시간과 공간의 한계를 극복하는 데 일조했다면, NFT는 디지털 자산에 가치를 부여하는 핵심 기술로 세간의 이목을 끌었다고 할 수 있다.
NFT는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해 디지털 자산의 소유주를 증명하는 가상의 토큰이다. 가상자산에 희소성과 유일성이란 가치를 부여할 수 있다는 특징으로 인해 NFT는 미술품이나 게임 아이템 거래, 증명서 발급 등 일상 영역으로 활용 범위가 확산되고 있다.
국내 주요 기업도 NFT의 확장성에 주목하고 관련 사업 전개에 나섰다. 삼성전자는 최신 플래그십 스마트폰 '갤럭시 S22'의 사전구매 고객을 대상으로 전용 NFT를 제공했으며, LG전자는 자사의 '올레드 TV'의 마케팅을 위해 NFT 예술 작품 분야 콘텐츠 사업을 추진했다.
네이버는 라인의 NFT 플랫폼 자회사 라인 넥스트와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NFT 분야 협업을 모색하고 있으며 카카오엔터테인먼트는 웹툰을 활용한 NFT를 발행했다. KT는 NFT를 발행하고 활용하는 NFT 투자 전용 앱 '민클'을 출시했다. 게임업계에서는 넷마블·위메이드·크래프톤 등이 NFT 관련 사업을 전개한 상태다.
IT 업계뿐 아니라 금융, 유통 등 다양한 분야에서 NFT 관련 상품을 쏟아내고 있다. NFT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도 나온다. 앤디 재시 아마존 최고경영자(CEO)는 해외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자사 쇼핑몰에서 NFT를 팔 수도 있다. 시간이 흐르면 가상화폐가 더 중요해지는 것을 보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긍정적인 평가만 존재하는 건 아니다. 산업의 가장 기본적인 부분인 NFT의 '효용성'에 대해 의구심을 제기하는 이들이 적지 않다.. 발행 주체를 알 수 없는 NFT가 쏟아지는가 하면, 과연 NFT가 가상자산의 가치를 보존해 주는지에 대한 의구심을 자아내는 사례가 적지않게 발생하고 있어서다.
트위터 창업자 잭 도시가 지난 2006년 3월에 처음 보낸 트윗의 NFT는 지난해 290만 달러(한화 약 36억 원)에 거래됐으나, 최근 진행한 경매에서는 최고 응찰가가 지난 22일 기준 약 3만 달러(한화 약 3730만 원)에 그쳤다. 불과 1년여 만에 가치가 폭락한 셈이다.
창작자의 허락 없이 NFT를 발행하는 행위도 발생했다. 지난 2월에는 글로벌 NFT 마켓 '오픈씨'에서 신세계푸드 캐릭터 '제이릴라'와 야구 구단 SSG 랜더스 엠블럼을 무단 도용한 NFT가 판매됐고, 스마트조이의 모바일 게임 '라스트 오리진'의 리소스를 해외 퍼블리셔 직원이 무단으로 이용해 NFT를 발행, 물의를 빚었다.
이병욱 서울과학종합대학원 주임교수는 저서를 통해 "NFT는 언제라도 소유권을 주장할 수 있는 영수증일 뿐, 실제 그 권리는 NFT를 발행한 자가 약속을 지켜야만 발생한다. 자동으로 소유권을 기록하고 집행해주는 프로그램이나 기관은 없으며 오로지 발행한 사람을 믿어야만 소유권이 인정되는 위험하고 원시적인 방식"이라고 꼬집었다.
원작을 확보하거나 저작권을 독점하는 것이 아니라 소유권을 취득하는 것에 불과하므로 NFT 소유자는 원본 자체를 독점적으로 사용하거나 복제하는 권한을 확보하지 못한다. 만약, 불법 복제자가 대량으로 사본을 복제해 유통하면 원본의 가치는 급격히 하락할 수 있다.
최근 기업들이 추구하는 ESG 경영과 방향성이 다른 것도 문제다. 대부분의 NFT는 가상화폐 '이더리움' 기반으로 운영되는데, 이더리움을 활용한 작업 증명 방식 과정에서 막대한 전력이 사용된다. ESG 경영은 '탄소중립'을 통해 환경을 복구하는 것이 목표지만, NFT 산업은 전력 소모로 인한 지구온난화를 가속화하는 기술이라는 태생적 한계가 있다.
시장 자체가 초기 단계라고 하지만 NFT는 치명적인 단점을 연이어 보여주고 있다. 그렇다고 NFT 관련 업계가 이를 보완할 특별한 움직임을 보이는 것도 아니다. 그저 감나무 밑에서 감 떨어지기를 기다리는 것처럼 소비자가 자신들을 믿어주길 바라기만 할 뿐이다.
이처럼 NFT 자체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가 부족한 상황에서 관련 사업을 무작정 전개하기보다는, 지금까지 발견된 단점을 보완함과 동시에 소비자가 NFT의 효용성을 실제로 느끼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소비자의 인식이 바뀌지 않는다면 NFT는 그저 잠시 주목받고 마는 단순 기술에 머물고 말 것이다.
이제부터라도 관련 업계가 지금까지 확인된 문제점을 빠르게 보완하길 바란다. 강력한 혁신을 통해 NFT가 우리 사회가 더 발전하도록 이끄는 주요 기술이 되는 날을 기대해본다.
【 청년일보=박준영 기자 】